코딩테스트 : 2805번 나무 자르기
1 초 | 256 MB | 239314 | 72030 | 44692 | 26.753% |
문제
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
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 그 다음,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 (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출력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public class BackJoon
{
public static void Main()
{
long[] NM = Console.ReadLine().Split().Select(long.Parse).ToArray();
long N = NM[0];
long M = NM[1];
long[] Trees = Console.ReadLine().Split().Select(long.Parse).ToArray();
bool finish = true;
long start = 0;
long end = Trees.Max();
long answer = 0;
while (start <= end)
{
long mid = (start + end) / 2;
long left = 0;
for (long i = 0; i < Trees.Length; i++)
{
left += Math.Max(0, Trees[i] - mid);
}
if (left >= M)
{
start = mid + 1;
answer = mid;
}
else
{
end = mid - 1;
}
}
Console.WriteLine(answer);
}
}
오히려 저번 문제보다 쉬웠다.
다른 사람의 흥미로운 풀이
int[] F() => Array.ConvertAll(Console.ReadLine().Split(), int.Parse);
이렇게 헬퍼 함수를 정의할 수도 있다. 이게 좀 놀라웠다.
또 다른 분이 풀걸 보니까 진짜 신기한 방식으로 푸셨다. 이해는 완전히 못해서 노션에 적어두고 복습할 예정이다.
코딩테스트 : 2110 공유기 설치
2 초 | 128 MB | 88351 | 32607 | 22442 | 37.329% |
문제
도현이의 집 N개가 수직선 위에 있다. 각각의 집의 좌표는 x1, ..., xN이고, 집 여러개가 같은 좌표를 가지는 일은 없다.
도현이는 언제 어디서나 와이파이를 즐기기 위해서 집에 공유기 C개를 설치하려고 한다. 최대한 많은 곳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려고 하기 때문에, 한 집에는 공유기를 하나만 설치할 수 있고, 가장 인접한 두 공유기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크게 하여 설치하려고 한다.
C개의 공유기를 N개의 집에 적당히 설치해서, 가장 인접한 두 공유기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집의 개수 N (2 ≤ N ≤ 200,000)과 공유기의 개수 C (2 ≤ C ≤ N)이 하나 이상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집의 좌표를 나타내는 xi (0 ≤ xi ≤ 1,000,000,000)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가장 인접한 두 공유기 사이의 최대 거리를 출력한다.
public class BackJoon
{
public static void Main()
{
// 집 N 공유기 C개
int[] NC = Console.ReadLine().Split(' ').Select(int.Parse).ToArray();
int N = NC[0];
int C = NC[1];
List<int> coordinate = new List<int>();
for (int i = 0; i < N; i++)
{
coordinate.Add(int.Parse(Console.ReadLine()));
}
coordinate.Sort();
//정렬을 했더라도, 사이사이의 거리의 길이는 다 다름, 어떻게 해야할까 ?
// 간격들을 따로 리스트에 저장한 다음, 거리가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최소 거리를 넘으면 count++하고,
// 성공적으로 모든 공유기를 설치(C개)하면 또 비교하고 하는 방식
int[] interval = new int[coordinate.Count - 1];
for (int i = 0; i < coordinate.Count - 1; i++)
{
interval[i] = coordinate[i + 1] - coordinate[i];
}
// 둘 다 "간격"
int start = interval.Min();
int end = interval.Max();
int max = start;
while (start < end)
{
int mid = (start + end) / 2;
int currentInterval = 0;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interval.Length; i++)
{
currentInterval += interval[i];
if (currentInterval >= mid)
{
count++;
currentInterval = 0;
}
}
if (count >= C)
{
max = mid;
start = mid + 1;
}
else
{
end = mid - 1;
}
}
Console.WriteLine(max);
}
}
처음에 생각해보니까 mid가 올바른 값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왜 ? 제일 큰 간격과 제일 작은 간격을 더한 후 절반을 낸 간격 자체가
interval List에 들어 있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인덱스로 접근하는 것이 맞다.
public class BackJoon
{
public static void Main()
{
// 집 N 공유기 C개
int[] NC = Console.ReadLine().Split(' ').Select(int.Parse).ToArray();
int N = NC[0];
int C = NC[1];
List<int> coordinate = new List<int>();
for (int i = 0; i < N; i++)
{
coordinate.Add(int.Parse(Console.ReadLine()));
}
coordinate.Sort();
//정렬을 했더라도, 사이사이의 거리의 길이는 다 다름, 어떻게 해야할까 ?
int start = 1;
int end = coordinate.Max() - coordinate[0];
int max = 0;
while (start <= end)
{
int mid = (start + end) / 2;
int count = 1;
int currentInterval = 0;
for (int i = 1; i < N; i++)
{
currentInterval += coordinate[i] - coordinate[i-1];
if (currentInterval >= mid)
{
count++;
currentInterval = 0;
}
}
if (count >= C)
{
max = mid;
start = mid + 1;
}
else end = mid - 1;
}
Console.WriteLine(max);
}
}
흠 이렇게 보고 다시 생각해보니, 간격으로도 풀 수 있을 것 같다, 처음에 count에 1을 더해주고 풀면 가능할 것 같다.
첫 지점은 무조건 선택된다는 것을 생각해야겠다.
'코딩테스트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75번 N번째 큰 수 (0) | 2025.04.22 |
---|---|
11279번 최대 힙, 1927번 최소 힙 , 11286번 절댓값 힙 (0) | 2025.04.21 |
1300번 K번째 수 (0) | 2025.04.17 |
1654번 랜선 자르기 (C#) (0) | 2025.04.14 |
1920번 수 찾기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