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백준

1654번 랜선 자르기 (C#)

Cadi 2025. 4. 14. 16:18

 

이분 탐색의 세 번째 문제다. 

설명에는 parametric search라고도 부르는 , 이분 탐색을 응용하여 최소값이나이분 탐색의 세 번째 문제다. 

 

설명에는 parametric search라고도 부르는 , 이분 탐색을 응용하여 최소값이나 최댓값을 찾는 테크닉을 배우는 문제라고 한다.

 

코딩테스트 : 1654번 랜선 자르기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128 MB 265779 64552 43578 21.869%

문제

집에서 시간을 보내던 오영식은 박성원의 부름을 받고 급히 달려왔다. 박성원이 캠프 때 쓸 N개의 랜선을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바빠서 영식이에게 도움을 청했다.

이미 오영식은 자체적으로 K개의 랜선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K개의 랜선은 길이가 제각각이다. 박성원은 랜선을 모두 N개의 같은 길이의 랜선으로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K개의 랜선을 잘라서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어 300cm 짜리 랜선에서 140cm 짜리 랜선을 두 개 잘라내면 20cm는 버려야 한다. (이미 자른 랜선은 붙일 수 없다.)

편의를 위해 랜선을 자르거나 만들 때 손실되는 길이는 없다고 가정하며, 기존의 K개의 랜선으로 N개의 랜선을 만들 수 없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자를 때는 항상 센티미터 단위로 정수길이만큼 자른다고 가정하자. N개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N개를 만드는 것에 포함된다. 이때 만들 수 있는 최대 랜선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오영식이 이미 가지고 있는 랜선의 개수 K, 그리고 필요한 랜선의 개수 N이 입력된다. K는 1이상 10,000이하의 정수이고, N은 1이상 1,000,000이하의 정수이다. 그리고 항상 K ≦ N 이다. 그 후 K줄에 걸쳐 이미 가지고 있는 각 랜선의 길이가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입력된다. 랜선의 길이는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개를 만들 수 있는 랜선의 최대 길이를 센티미터 단위의 정수로 출력한다.

 

단순하게 특정 값을 찾았던 것과 다르게, 최댓값을 찾는 문제다.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Text;

public class BackJoon
{
    private static long maxNumber = 0;
    public static void Main()
    {
    
        // 아이디어 start를 1, end를 전체 더한 것을 목표 K 로 나눈 것으로 하고 이분탐색
        
        long[] KN = Console.ReadLine().Split(' ').Select(long.Parse).ToArray();
        long K = KN[0];
        long N = KN[1];

        long total = 0;
        List<int> lan = new List<int>();
        for (long i = 0; i < K; i++)
        {
            int number = int.Parse(Console.ReadLine());
            total += number;
            lan.Add(number);
        }
        lan.Sort();
        long max = total / N;


   binarySearch(lan, 1, max + 1, N);
   Console.WriteLine(maxNumber);
    }


    public static void binarySearch(List<int> numbers, long start, long end, long target)
    {
        if (start > end) return;
        long mid = (start + end) / 2;

        long total = 0;
        for (int i = 0; i < numbers.Count; i++)
        {
            total += numbers[i] / mid;
        }

        if (total >= target)
        {
            maxNumber = mid;
            binarySearch(numbers, mid + 1, end, target);
        }
        else
        {
            binarySearch(numbers, start, mid - 1, target);
        }
    }
    
}

 

int로 해서 계속 틀리다가 맞았다. 

 

오른쪽 끝 ( endIndex)를 구하는 방식에서 최적화를 하고 싶어서, 모든 케이블의 길이를 더한 수 / N으로 했었다.

다만 이렇게 하면 total / N 값 자체가 포함되지 않아서 틀린 값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 1을 해 줘야 한다.

(GPT는 이렇게 하면 틀리다고 했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될 것 같아서 해 봤더니 된다. ) 

 

 

다른 사람의 흥미로운 풀이

 

조금 더 코드를 깔끔하게 바꿀 수 있었다.

재귀 방식이 아니라 While문을 사용해도 좋고, 안에서 max값을 static으로 선언하고 계속해서 바꿔줄 필요 없이

마지막에 나오는 mid 값이 답이 된다.